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💥 “애드센스 입금은 외화? 신고 안 하면 가산세 20 %!”

    유튜브와 달리 블로그 애드센스에는 원천징수가 없습니다. 즉, 전액이 입금되지만 2025년 6 월 2 일까지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으면 무신고가산세 20 % + 납부불성실가산세(일 0.022 %)가 붙습니다. 지금부터 초보 블로거도 따라 할 수 있는 신고 방법과 절세 팁을 확인하세요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애드센스 소득 구조·세목 분류

    구분 예시 플랫폼 원천징수 여부 종합소득세 세목
    광고수익(국내) 애드핏, 제휴 CPA 원천징수 3.3 %
    (일부)
    사업 / 기타소득
    광고수익(해외) Google AdSense 원천징수 0 % 국외원천 사업소득

     

    ※ 애드센스 수익은 사업소득(블로그 운영)으로 신고하며, 해외 지급이라 외국환매도율 환산 후 합산합니다.

     

    블로그 애드센스 절세 체크리스트 TOP 3

     

    1. 사업자등록 필수 – 부가세 면세 ‘인터넷 콘텐츠 제공업’(I62012)으로 등록 → 경비율·공제 폭 확대
    2. 사업용 계좌·카드 분리 – 호스팅·도메인·캠페인 비용 전액 필요경비 인정
    3. 외화입금 환산 – 입금일 전신환매도율로 환산해 소득 계산, 증빙으로 통장 PDF 보관

     

    홈택스 애드센스 수익신고 방법

     

    1. 수익 자료 집계
      ▶ 애드센스 ‘Payments ▸ Transactions’ CSV 다운로드 → 월별 합계 산출
    2. 원화 환산
      ▶ 입금일 기준 전신환매도율* 금액 × USD 수익
      * 한국은행·시중은행 고시 환율 모두 인정
    3. 소득 유형 입력
      ▶ 홈택스 [종합소득세 ▸ 사업소득 ▸ 해외광고수익] → ‘국외원천소득’ 체크
    4. 경비·공제 입력
      ▶ 도메인·호스팅·콘텐츠 제작비 등 필요경비 입력 → 환급액 시뮬레이션
    5. 전자제출 & 영수증 저장
      ▶ ‘제출’ 클릭 → 접수증·영수증 PDF 5년 보관

     

    자주 묻는 질문

    Q1. 애드센스가 ‘해외소득’인데 외국납부세액공제 가능?
    구글이 세금을 원천징수하지 않으므로 외국납부세액공제는 없습니다. 전액 국내 과세입니다.
    Q2. 3.3 %를 떼어 가는 매체도 있는데 왜 애드센스는 0 %인가요?
    해외 법인이 지급하는 ‘국외원천소득’이어서 국내 원천징수 규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.
    Q3. 애드센스 수익만 연 300만 원인데 사업자등록해야 하나요?
    의무는 아니지만, 사업자등록을 하면 필요경비·세액공제·부가가치세 면세 혜택을 명확히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.
    Q4. 구글에서 달러가 아닌 원화로 입금되면 환율 계산은?
    입금액 그대로 원화 수익으로 잡으면 됩니다. 달러→원화 환전 과정이 없으므로 환산 불필요.
    Q5. 애드센스 수익이 갑자기 늘어 복식부기 의무자가 됐습니다. 준비는?
    사업용 계좌·카드별 분리와 회계프로그램(더존·플로우 등) 도입, 재무제표 작성이 필요합니다.

    ⚠️ 체크리스트

    • 애드센스 수익은 부가세 면세지만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는 존재
    • 환율·입금명세·세금계산서(없음)는 통장·CSV 증빙으로 대체
    • 도메인·호스팅비는 전자세금계산서 or 현금영수증 필수
    • 사업용 계좌 미분리 시 경비 인정 거절·가산세 위험
    • 신고 누락 시 무신고가산세 20 % + 납부불성실가산세(일 0.022 %) 부과

     

    #애드센스종합소득세 #블로그수익신고 #국외원천소득 #애드센스환율 #3점3원천징수없음 #사업자등록면세 #종합소득세2025